본문 바로가기
복지

귀인이론의 개념과 종류 및 공변모형으로의 발전

by airsupply 2024. 11. 4.

프리츠 하이더는 추론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의 원인을 그 사람의 내적인 요소 ( 기질 ,  성격 특성 ,  태도 등 ) 에 귀인하는 것을 내부 귀인이라고 하고 ,상황적 요소( 외부 압력 ,  사회적 규범 ,  우연한 기회 등 )에 귀인하는 것을 외부 귀인이라고 이분하여 설명하였습니다 .

귀인이론의 개념

귀인이란 라는 질문에 답하기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비언어적 행동만을 보고도 그 사람의 성격에 관한 사실까지(얼마나 친절할지 또는 얼마나 사교적 일지))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암묵적 성격이론을 이용하여 그 사람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채워 넣게 됩니다.

예컨대, 그 사람을 친절한 사람으로 간주하고 나면, 그 사람은 틀림없이 성실할 것이라는 추론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비언어적 행동과 암묵적 성격이론 만으로는 어떤 사람이 실제로 생각하는 것이 무엇이고 절실하게 느끼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아는 사람을 만났는데 만나서 정말 반갑습니다.”라고 인사말을 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사람은 왜 그런 인사말을 했을까? 이처럼 라는 질문에 답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이론을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귀인 이론은 다른 사람들이 행한 행동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전개되는 추론 방식을 의미합니다.

귀인 이론의 창시자 프리즈 하이더(Fritz Heider.1958)는 사람들을 아마추어 과학자로 간주하였습니다.

즉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그럴듯하게 설명할 수 있을 때까지 정보를 종합함으로써 그들의 행동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존재라고 보았던 것입니다.

 

귀인이론의 종류

귀인 이론의 아버지로도 불리는 프리츠 하이더는 추론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의 원인을 그 사람의 내적인 요소 (기질, 성격 특성, 태도 등)에 귀인하는 것을 내부 귀인이라고 하고, 상황적 요소(외부 압력, 사회적 규범, 우연한 기회 등)에 귀인하는 것을 외부 귀인이라고 이분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거리에서 구걸하는 노숙자를 보면 우리는 내부 귀인(‘알코올 중독이거나 게을러서 구걸을 하고 있구나’) 또는 외부 귀인(‘실직이나 파산으로 인해 구걸을 하게 되었구나’)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귀인에 따라 노숙자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인상이 형성되고 아울러 돈을 줄지 말지의 행동도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귀인이론의 공변모형으로 발전

이후, 귀인 이론은 켈리에 의해 공변 모형으로 발전했습니다.

켈리는 우리가 귀인을 할 때 한 가지 정보에 의거해 판단하기보다는 상대방에 대한 축적된 여러 가지 정보를 바탕으로 귀인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보았습니다. , 상대방의 행동이 다른 때, 다른 상황, 그리고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에도 동일하게 발생하는지를 고려하여 그 행동의 원인을 판단한다는 뜻입니다.

공변 모형은 특정 원인이 있거나 없을 때 그 행동이 발생하는지, 또는 발생하지 않는지를 고려하여 행동의 원인을 귀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며, 이때 합치성(consensus)’, ‘특이성(distinctiveness)’, ‘일관성(consistency)’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고 설명합니다. 합치성은 판단하고자 하는 대상 외에 다른 사람들도 특정 자극에 대해 동일한 반응을 보이는지에 대한 정보를 말합니다.

특이성은 판단 대상의 행동이 특정한 자극뿐만 아니라 다른 자극들에도 동일한 반응을 보이는지에 대한 정보를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일관성은 판단 대상의 행동이 다른 상황, 다른 때에도 동일하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말합니다.

 

예를 하나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공변 모형에 따라 철수가 특정 코미디언을 보고 웃는 행동을 귀인하는 과정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웃지 않고 철수만 특정 코미디언을 보고 웃고 (합치성 낮음), 다른 코미디언을 볼 때도 철수의 웃는 행동 (특이성 낮음)을 자주 관찰했다면(일관성 높음) 철수의 웃는 행동에 대해 ‘철수는 잘 웃는 사람이구나(내적 요소)’라고 내적 귀인을 하게 됩니다. 반면 철수가 아닌 다른 사람들도 특정 코미디언을 보고 웃고 (합치성 높음) 특정 코미디언이 아닌 다른 코미디언에 대해서는 웃지 않는 행동(특이성 높음)이 자주 관찰되었다면(일관성 높음) 우리는 철수의 행동에 대해  ‘저 개그맨이 굉장히 재미있는 코미디언이구나(외적 요소)’라는 외부 귀인을 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판단 대상이 되는 철수의 행동에 일관성이 낮을 때에는 그 행위의 원인을 심판 대상의 내적 또는 외적 요인으로 돌리는 과정이 애매모호합니다. 즉, 철수가 특정 코미디언을 향해 웃는 것을 '처음' 본다면 그가 잘 웃는 사람이기 때문인지, 아니면 그 코미디언이 재미있는 코미디언이기 때문인지 판단하기 어렵고 결국 그 상황에서 일어난 특별한 일이라고 추론하게 됩니다. 결국 일관성이 높아야 내적 귀인과 외적 귀인을 정의하는 데 아무런 문제 없이 추론이 가능하다는 설명입니다.